네이버: 두 판 사이의 차이

엔트리 위키
내용 추가됨 내용 삭제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편리하고 좋다는 의견도 많지만 까는 사람들도 많다. <br>
편리하고 좋다는 의견도 많지만 까는 사람들도 많다. <br>
ㄴ 난 구글파니까 ㅂ2
ㄴ 난 구글파니까 ㅂ2

=== 문제점 ===
==== 너무 많은 광고 ====
한국 검색엔진의 특징이기도 한데, 메인 페이지에서 광고를 엄청나게 많이 띄운다.<br>
그리고 일명 '파워링크'라고 불리는 광고가 검색 결과에서 그것도 맨 위에서 한 화면을 차지한다.<br>
이로인해 사용자에게 스크롤을 한번 더 해야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br>
심지어 최근에는 인플루언서가 추가되어 스크롤을 두번 해야된다! ('C++'를 검색해보면 알수 있다.)<br>
(현재는 많이 사그라들었다.)

==== 발적화 ====
구글의 앱들의 경우 <s>버그는 뒤지게 안고치지만</s> 나름 버벅임이 심하지 않다.<br>
하지만 네이버의 경우, 특히 네이버 앱의 경우에는 기능을 한곳에 때려박고, 여러 특수효과와 애니메이션을 덕칠해놓은 덕분에<br>
저사양 기기(갤럭시 A 시리즈 등) 에서 엄청난 버벅임을 선사해준다.

==== 검색 결과의 질 ====
네이버와 구글에 '음악과 공부의 상관관계'를 검색해보자.<br>
네이버의 경우 블로그, 지식인이 먼저 나오지만, 구글의 경우 학술 자료가 먼저 나온다.<br>
<br>
본인이 블로그가 읽기 편하다면 상관없지만,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명심하자. 나무위키가 이걸로 괜히 까이는게 아니다.

==== 세이프서치 ====
구글의 경우 vpn을 이용해서 세이프서치를 우회할수 있다!<br>
허나 네이버는 얄짤없이 본인인증이 필요하다.<br>
어짜피 인증해도 님들이 원하는건 잘 안나오지만. ㅋ (어쩌면 오히려 장점일수도 있다.)


== 커넥트재단 ==
== 커넥트재단 ==

2024년 6월 1일 (토) 16:48 기준 최신판

이 문서는 성지를 다룹니다.
혹은 이 문서가 성지입니다.

개요[편집]

네이버 홈
점유율 50%의 막강한 사이트이다. 편리한 사이트이며, 다크 모드까지 있다!

양식[편집]

홈 스타일은 맨위에 검색창과 홈으로 돌아가는 메뉴가 있고, 아래로 메일, 카페, 지식in[1] 등의 서비스 링크가 있다.
검색창 스타일은 검색을 한뒤 아래에 많은 링크가 뜬다. 원래는 파랗게 표시되다가 방문 기록이 남으면 보라색이 된다. 시크렛 모드등으로 방문기록이 남지않을시 계속파랗게 표시된다.
검색결과가 없을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라고 뜬다.

평가[편집]

편리하고 좋다는 의견도 많지만 까는 사람들도 많다.
ㄴ 난 구글파니까 ㅂ2

문제점[편집]

너무 많은 광고[편집]

한국 검색엔진의 특징이기도 한데, 메인 페이지에서 광고를 엄청나게 많이 띄운다.
그리고 일명 '파워링크'라고 불리는 광고가 검색 결과에서 그것도 맨 위에서 한 화면을 차지한다.
이로인해 사용자에게 스크롤을 한번 더 해야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심지어 최근에는 인플루언서가 추가되어 스크롤을 두번 해야된다! ('C++'를 검색해보면 알수 있다.)
(현재는 많이 사그라들었다.)

발적화[편집]

구글의 앱들의 경우 버그는 뒤지게 안고치지만 나름 버벅임이 심하지 않다.
하지만 네이버의 경우, 특히 네이버 앱의 경우에는 기능을 한곳에 때려박고, 여러 특수효과와 애니메이션을 덕칠해놓은 덕분에
저사양 기기(갤럭시 A 시리즈 등) 에서 엄청난 버벅임을 선사해준다.

검색 결과의 질[편집]

네이버와 구글에 '음악과 공부의 상관관계'를 검색해보자.
네이버의 경우 블로그, 지식인이 먼저 나오지만, 구글의 경우 학술 자료가 먼저 나온다.

본인이 블로그가 읽기 편하다면 상관없지만,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명심하자. 나무위키가 이걸로 괜히 까이는게 아니다.

세이프서치[편집]

구글의 경우 vpn을 이용해서 세이프서치를 우회할수 있다!
허나 네이버는 얄짤없이 본인인증이 필요하다.
어짜피 인증해도 님들이 원하는건 잘 안나오지만. ㅋ (어쩌면 오히려 장점일수도 있다.)

커넥트재단[편집]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커넥트재단 문서를 참고하세요.

각주[편집]

  1. 궁금한것을 묻고답하는 기능이며, '엔트리의 묻고 답하기'와 비슷하다.